독후감면도날20250209유튜브나 인스타를 통해서 서머싯 몸의 면도날이 꽤나 핫한 책인 것을 알았다. 그리하여 북클럽의 첫번째 책으로 골랐는데 생각외로 두껍고, 생각외로 진지한 책이었어서 놀랐다. 요즘 사람들은 이런 책을 읽으며 남들과는 다른 나만의 힙함을 느끼는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 유명한 달과 6펜스도 아직 안 읽었거늘, 그의 나중 작품으로 그의 문체나 말하고자 하는 것을 알게되어서 ,천만영화 안보고 같은 감독의 덜유명한 영화를 본, 한마디로 더 힙해진 기분이었다.
서머싯몸 본인이 등판하여 래리라는 인물을 서술하는 방식이 재밌었다. 좀 더 시대의 묘사를 디테일하게 설명하려고 본인 이름을 그대로 쓴 건지, 아니면 이 일은 실제로 일어난것처럼 사실감을 주기위해 한 건지, 궁금했다. 작가가 워낙 자기가 직접 겪고 들은 얘기처럼 잘 썼기에 소설의 주인공들이 실존한다면 서머싯 몸을 고소해야하지 않나싶었다. 그정도로 현실감 넘치는 인물들 속에서 나는 작중 화자인 서머싯 몸과 비슷한 스탠스를 일상에서 취하지 않나 싶었다. 래리와 같이 질문을 많이 던지는 삶을 가지면서도 엘리엇처럼 돈과 화려함을 가까이하는 중간의 포지션을 취한다. 래리처럼 살기에는 부유하고 풍족한 현실을 추구하는 것을 포기할 수 없고, 엘리엇처럼 살기에는 그들이 너무 속물처럼 보여서 조소를 날린다. 예술가라는 이름으로 그들을 관찰해내어 제3자처럼 보이지만 제일 겁이 많은 인물아닐까싶다. 소설 속에서 왜 그렇게 결말을 맞이 할 수 밖에 없었나 싶었던 의외의 인물은 소피였다. 아무래도 소설속의 시대와 이 글이 쓰여진 당시 시대상을 생각해보았을때 여성인물들이 납작하게 나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녔다. 그래서 흐린눈하고 읽기는 했지만, 큰아픔을 가진 소피가 결국 중독자의 삶에 헤어나오지 못하는, 그리고 이를 마땅하다는 듯이 죽음으로 마무리하는 부분은 많이 아쉬웠다. 하긴 소피가 래리랑 잘되어서 일반적인 삶을 살며 시인이 되었다거나 했으면 이 책의 주인공
은 소피였으려나. 그나마 능동적으로 여성인물들중에 그나마 본인아 일궈내는 삶을 사는 것은 수잔 같아 보이나 그녀또한 남자한테 기대어야 삶을 살아낼 수 있던 모습으로 나와 아쉬움을 주었다.
제목이 왜 면도날인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물음표를 던졌다. 면도날이라는 것이 한끝의 예리함을 상징하는 것 같았다. 제일 재밌게 읽었던 6장을 읽으면서 면도날을 상징하는 사람은 궁극적으로 래리가 아니었을까싶었다. 어디로 튈지 모르지만 한결같은 방향으로 전진하는 모습이 가슴속에 면도날을 품고 사는 사람같았다. 사람과 속세와 팽팽한 줄을 당기면서 품은 면도칼로 언제든 끊어낼 수 있는 래리, 그의 자유로움이 이 소설을 읽는 내내 부러웠다.